달력

5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G-20 Summit

Diplomat 2010. 8. 4. 23:20
100일도 안남은 G20정상회의에 대해서 좀 알아보자...ㅎㅎ

출처: G-20.org

아~~이런, 인디아 브라질..다 개최했었군...왜 이걸 놓쳤을까? 바보 아닌가 모르곘다..ㅜㅡ


What is the G-20

The Group of Twenty (G-20)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was established in 1999 to bring together systemically important industrialized and developing economies to discuss key issues in the global economy. The inaugural meeting of the G-20 took place in Berlin, on December 15-16, 1999, hosted by German and Canadian finance ministers.(1999년 설립됐는데..재정수장, 세계은행장.. 모여서 경제 잘 논의하고 토론해서 세계경제 잘만들자..뭐 이렇게 논의했다는... 첫 개최 도시는 베를린?! 1999년 12월 15-16일)

Mandate

The G-20 is the premier forum for our inter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at promotes open and constructive discussion between industrial and emerging-market countries on key issues related to global economic stability. By contributing to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alogue on national policie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e G-20 helps to support growth and development across the globe.

Origins

The G-20 was created as a response both to the financial crises of the late 1990s and to a growing recognition that key emerging-market countries were not adequately included in the core of global economic discussion and governance. Prior to the G-20 creation, similar groupings to promote dialogue and analysis had been established at the initiative of the G-7. The G-22 met at Washington D.C. in April and October 1998. Its aim was to involve non-G-7 countries in the resolution of global aspects of the financial crisis then affecting emerging-market countries. Two subsequent meetings comprising a larger group of participants (G-33) held in March and April 1999 discussed reforms of the global economy an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The proposals made by the G-22 and the G-33 to reduce the world economy's susceptibility to crises showed the potential benefits of a regular international consultative forum embracing the emerging-market countries. Such a regular dialogue with a constant set of partners was institutionalized by the creation of the G-20 in 1999.

1998년 나오면...IMF 생각좀 해보자...

Membership

The G-20 is made up of the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of 19 countries:

  • Argentina
  • Australia
  • Brazil
  • Canada
  • China
  • France
  • Germany
  • India
  • Indonesia
  • Italy
  • Japan
  • Mexico
  • Russia
  • Saudi Arabia
  • South Africa
  • Republic of Korea
  • Turkey
  • United Kingdom
  • United States of America

의외의 나라들 많이 보인다...터키. 인도, 아르헨티나. 브라질...개도국+신흥국+선진국...뭐 이런 구성...

The European Union, who is represented by the rotating Council presidency and the European Central Bank, is the 20th member of the G-20. To ensure global economic fora and institutions work together, the Managing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and the President of the World Bank, plus the chairs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Committee and Development Committee of the IMF and World Bank, also participate in G-20 meetings on an ex-officio basis. The G-20 thus brings together important industrial and emerging-market countries from all regions of the world. Together, member countries represent around 90 per cent of global gross national product, 80 per cent of world trade (including EU intra-trade) as well as two-thirds of the world's population. The G-20's economic weight and broad membership gives it a high degree of legitimacy and influence over the management of the global economy and financial system.

Achievements

The G-20 has progressed a range of issues since 1999, including agreement about policies for growth, reducing abuse of the financial system, dealing with financial crises and combating terrorist financing. The G-20 also aims to foster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ly recognized standards through the example set by its members in areas such as the transparency of fiscal policy and combating money laundering and the financing of terrorism. In 2004, G-20 countries committed to new higher standards of transparency and exchange of information on tax matters. This aims to combat abuses of the financial system and illicit activities including tax evasion. The G-20 has also aimed to develop a common view among members on issues related to further development of the global economic and financial system. 

To tackle the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that spread across the globe in 2008, the G-20 members were called upon to further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Since then, the concerted and decisive actions of the G-20 helped the world deal effectively with the current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The G-20 has already delivered a number of significant and concrete outcomes. For examples, it committed to implement the unprecedented and most coordinated expansionary macroeconomic policies, including the fiscal expansion of US$5 trillion and the unconventional monetary policy instruments; significantly enhance the financial regulations, notably by the establishment of the Financial Stability Board(FSB); and substantially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IFIs), including the expansion of resources and the improvement of precautionary lending facilities of the IFIs.

Reflecting on these achievements and recognizing that more needs to be done to ensure a strong, sustained and balanced global recovery, the G-20 Leaders at Pittsburgh Summit designated the G-20 as the premier forum for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Chair

Unlike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MF or World Bank, the G-20 (like the G-7) has no permanent staff of its own. The G-20 chair rotates between members, and is selected from a different regional grouping of countries each year. In 2010 the G-20 chair is the Republic of Korea, and in 2011 it will be France.  The chair is part of a revolving three-member management Troika of past, present and future chairs. The incumbent chair establishes a temporary secretariat for the duration of its term, which coordinates the group's work and organizes its meetings. The role of the Troika is to ensure continuity in the G-20's work and management across host years.

Former G-20 Chairs

  • 1999-2001 Canada
  • 2002 India
  • 2003 Mexico
  • 2004 Germany
  • 2005 China
  • 2006 Australia
  • 2007 South Africa
  • 2008 Brazil
  • 2009 United Kingdom
  • 2009년 9월 25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린 제3차 G20 정상회의에서 2010.11월 한국 유치 결정..

Meetings and activities

It is normal practice for the G-20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to meet once a year. The last meeting of ministers and governors was held in St. Andrews, UK on 6-7 November 2009.  The ministers' and governors' meeting is usually preceded by two deputies' meetings and extensive technical work. This technical work takes the form of workshops, reports and case studies on specific subjects, that aim to provide ministers and governors with contemporary analysis and insights, to better inform their consideration of policy challenges and options.

 

2010 G-20 Events

Deputies Meeting, February 27-28, Korea. (Incheon Songdo)

Meeting of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April 23, USA. (Washington, D.C)

Meeting of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June 4-5, Korea. (Busan)

G-20 Summit Meeting, June 26-27, Canada. (Toronto)

Deputies Meeting, September 4-5, Korea. (Gwangju)

Meeting of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October, USA. (Washington, D.C)

Meeting of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October 22-23, Korea. (Gyeongju)

G-20 Summit Meeting, November 11-12, Korea (Seoul)

Interaction with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20 cooperates closely with various other maj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fora, as the potential to develop common positions on complex issues among G-20 members can add political momentum to decision-making in other bodies. The participation of the President of the World Bank, the Managing Director of the IMF and the chairs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Committee and the Development Committee in the G-20 meetings ensures that the G-20 process is well integrated with the activities of the Bretton Woods Institutions. The G-20 also works with, and encourages, other international groups and organizations, such as the Financial Stability Board and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in progress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economic policy reforms. In addition, experts from private-sector institutions and non-government organisations are invited to G-20 meetings on an ad hoc basis in order to exploit synergies in analyzing selected topics and avoid overlap.

External communication

The country currently chairing the G-20 posts details of the group's meetings and work program on a dedicated website. Although participation in the meetings is reserved for members, the public is informed about what was discussed and agreed immediately after the meeting of ministers and governors has ended. After each meeting of ministers and governors, the G-20 publishes a communiqué which records the agreements reached and measures outlined. Material on the forward work program is also made public.

      • [G20 코리아, 더 큰 세계로 ⑥] 최원기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 글로벌 중심국가로의 진입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토대 마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실상 세계질서의 개편을 주도하고 있는 선진·신흥 주요 20개국 G20 정상회의가 2010년 11월 서울에서 열린다.

        2009년 9월 25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린 제3차 G20 정상회의에서 참가국 정상들은 정례화 이후 첫 정상회의 개최지를 한국으로 결정했다. 우리가 향후 새로운 세계경제 질서의 새로운 틀을 짜게 될 G20 정상회의를 의장국으로서 주도하게 되었다는 것은 우리 외교사에 있어서는 하나의 획기적 사건이다. 또한 한국이 아시아와 신흥국을 통틀어 맨 처음 이 회의를 개최하게 됐다는 사실은 단순한 신흥국의 범주를 넘어 글로벌 질서 차원에서 우리의 국제적 위상과 역할의 강화라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G20 서울 개최는 세계경제 질서 재편 과정에서 한국이 글로벌 중심 국가로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유례없는 새로운 외교적 기회를 확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경제 위기 이후 세계경제 질서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선진국의 목소리가 일방적이던 국제사회에서 G20의 부상과 함께 신흥국의 목소리와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피츠버그 G20 정상회의는 G20를 세계경제협력을 위한 최상위 포럼으로 지정했다. 공식적으로 G20가 G8를 대체하는 새로운 글로벌 경제협의체로 격상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세계경제 질서의 권력이동을 반영한 것으로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다. 1980년대만해도 G8가 차지하는 세계경제 비중은 80%였으나 한국·중국·인도·브라질 등이 부상하면서 G8의 비중은 50%대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글로벌경제 위기로 미국·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이 고전하는 동안 한국·브라질·인도·중국 등의 신흥국은 위기에서 훨씬 빨리 벗어나 세계경제를 이끄는 견인차 구실을 해오고 있다.

        세계경제 질서가 이동하면서 G8의 경제 비중이 50%대로 떨어진 반면 신흥국의 비중은 늘어났다. <사진= 연합뉴스>
        세계경제 질서가 이동하면서 G8의 경제 비중이 50%대로 떨어진 반면 신흥국의 비중은 늘어났다. <그래픽= 연합뉴스>

        신흥국들이 세계경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 상황에서 이제 선진국들은 신흥국들의 협력 없이는 세계경제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게 됐다. 선진국 중심의 G8는 그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기후변화, 에너지 안보 등의 글로벌 이슈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G8는 글로벌 리더십의 공백을 초래했고, G8에 대한 비판과 정치적 불신이 높아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G20는 처음에는 주로 글로벌경제 안정과 관련한 주요 이슈를 놓고 권고안을 채택하는 정도의 임시회의체에 불과했다. 그러나 G20가 정상회의로 격상되면서 재정정책 공조에서부터 금융규제 문제까지 구속력을 갖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기구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금융위기가 세계적으로 확대된 이후 G20는 세계경제의 향방을 결정하는 핵심적 국제포럼의 역할을 해왔다. G20 정상회의는 1~3차 회의를 통해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주요 분야에서 구체적 성과를 거두면서 세계경제 질서 재편의 새로운 중심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G20가 현재와 같이 선진국과 개도국 간 협의를 통한 경제위기 타개 모델로서 제도화한다면 향후 경제 이슈뿐만 아니라 안보 이슈까지 다루는 다자협력체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서 열리게 될 G20 회의는 G20가 정례화한 이후의 실질적인 첫 회의로서 G20 제도화의 첫 출발점이라는 데 의미가 크다. 지난 피츠버그 회의에서 G20 정상들은 그동안 부정기적으로 열렸던 G20 정상회의를 정례화하기로 결정해 특히 내년 서울회의는 G20의 향후 운영방향 및 제도화 문제를 결정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G20 정상회의가 제도화하면 명실상부하게 세계경제를 움직이는 컨트롤 타워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특히 한국은  G20 의장국에다 주최국까지 겸하게 된다.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회의 개최뿐 아니라 의제 설정, 토론 및 공동선언문 도출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G20라는 새로운 글로벌 운영체제에서 우리의 국제적 역할과 지위가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G20 정상회의 유치는 우리 외교사적으로도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우리의 선택이 아닌 외부로부터의 강요에 의한 왜곡된 질서를 감수해왔다. 자주적 근대화 출발점의 기로에 섰던 20세기 초 우리는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로 편입돼 국가의 주권을 상실하고 독자적 근대국가로의 발전 기회를 잃어 버렸다. 고종의 밀명으로 1907년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갔던 이준 열사가 회의장에 입장하지도 못하고 분사하는 민족적 치욕의 고통을 경험했다. 1945년 일제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도 6?25 한국전쟁과 남북한 분단체제의 고착화를 극복하지 못하고 국제사회의 주변부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국제사회의 중심 무대인 유엔(UN)에도 지난 1991년에야 비로소 남북한 동시 가입 방식을 통해 가입하는 등 그동안 우리는 선진국이 짜놓은 세계질서에 진입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국제사회의 원조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개발연대의 압축적 성장전략을 통해 대외개방과 수출주도로 선진국의 문턱에 도달했으나, 1997년 외환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요청하고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구조개혁을 단행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내년 G20 정상회의 유치는 무엇보다 한국이 세계경제의 변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질서를 주도하는 위치에 올라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즉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주어진 질서에 순응할 수밖에 없었던 입장에서 벗어나 국제사회 주도국의 일원으로서 우리의 의지와 선택을 통해 국제질서 형성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내년 G20 회의는 우리의 노력 여하에 따라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는 실질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 리더십에 대한 높아진 기대
        -선진국과 신흥국의 이해 조율로 신뢰와 위상 확보 필요

        G20 정상회의 한국 개최 결정은 한국이 그동안 1~3차에 걸친 G20 정상회의 과정에서 보여준 주도적인 리더십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한국의 국제적 역할은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수동적으로 주어진 규칙을 준수하는 데 국한되어 왔다. 소득이 급속히 늘어나고 경제 규모가 증가해도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왔다. 이제 G20 서울 개최를 계기로 우리는 보다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역할과 기여를 통해 글로벌 중심 국가로 거듭날 수 있는 기로에 서 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글로벌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공조체제 구축과정에서 선진국과 신흥경제국 간의 이견을 조율하는 중재자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왔다. 이는 그동안 우리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실용외교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2010년 G20 공동의장국인 한국이 정상회의를 유치하는 데 어느 정도 유리한 입장이었으나, 그렇다고 의장국이라고 해서 정상회의를 자동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세계경제는 글로벌경제 위기 발생 이후 금융시장의 불안정,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 급감 및 실업 증가, 국제무역의 축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특히 선진국에 비해 신흥국을 비롯한 개도국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고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이해관계는 첨예하게 갈렸다. 이에 따라 경기부양, 금융개혁, 보호주의 방지 등의 문제들에 대해서 미국 등 선진국이나 중국 등 신흥국 모두 자국의 국내 상황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어 양쪽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국제적 협력방안을 도출하기 어려웠다.

        지난해 10월 기획재정부 등 자료에 따르면 G20 회원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평균 2.0%p 증가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는 평균보다 높은 2.5%p 증가해 회원국 중 6위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10월 기획재정부 등 자료에 따르면 G20 회원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평균 2.0%p 증가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는 평균보다 높은 2.5%p 증가해 회원국 중 6위를 기록했다. <그래픽=연합뉴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원조에 의지했던 최빈국에서 불과 50년 만에 선진국 문턱에 다다른 우리나라가 신흥국과 선진국 사이에서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맡고 나선 것이다. 2008년 11월 워싱턴에서 열린 G20 1차 회의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를 막기 위해 앞으로 1년간 무역·투자 장벽을 추가로 쌓지 말자는 스탠드스틸(Stand still)을 제안해 공동선언문에 반영시키는 등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 가교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또한 2009년 4월 런던 2차 회의에서는 외환위기의 경험을 토대로 부실자산 처리에 관한 국제원칙과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조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도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한국이 G20의 최대 목표인 글로벌경제 위기를 모범적으로 극복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라는 점도 한국에 대한 기대와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국은 이미 1998년 동아시아 외환위기를 겪은 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경제위기를 가장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극복한 경험이 있다. 이번 미국발 경제위기 발생 이후에도 수출부진과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미 다른 어떤 국가보다도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점도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내년 G20 서울회의를 앞두고 한국에 대한 국제사회의 기대는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G20 국가들이 한국의 내년 G20 정상회의 개최를 결정한 것은 한국이 선진국과 신흥국의 이해를 조율해 자신들의 입장을 반영해줄 수 있다는 기대와 신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이 G20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중재자, 균형자, 조정자라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면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에 대한 신뢰와 위상은 더욱 공고화할 것이다.

        한국, 질서의 규칙제정자로 도약
        -최빈국에서 선진 공여국으로 변경된 세계 첫 번째 국가

        지금까지 한국은 세계경제 질서의 관리 및 글로벌 규칙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해본 적이 없다. 그저 선진국들이 국제기준을 만들면 수용하고 지키는 일이 전부였고, 국제 경제적 지위에 상응하는 의무와 역할에 소극적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글로벌위기 극복 과정에서 한국이 G20 의장국으로 부상함으로써 세계경제를 규율하는 운영그룹에 진입했고,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새로운 국제적 역할과 영향력을 확보하게 됐다.

        즉, 이제 한국은 국제사회의 ‘규칙 준수자(Rule Taker)’에서 ‘규칙 제정자(Rule Setter)’의 위치로 도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이에 걸맞은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된 것이다.

        한국은 개도국들이 선망하는 경제발전 모델이다. 한 세대 만에 세계 최빈국으로 선진국들로부터의 원조에 의지하던 나라에서 이제는 개도국들의 빈곤타파와 경제발전을 위한 전략과 노하우를 전수하는 국가로 변모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개발원조위원회(DAC)의 회원국이 됐다. 우리나라의 DAC 가입은 1960년대에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던 한국이 공식적으로 선진공여국 그룹에 진입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난 세기 원조를 받던 우리나라가 지난해 11월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세기 원조를 받던 우리나라가 지난해 11월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 가입했다. 우리나라는 ODA 규모를 2015년까지 GNI 대비 0.25%로 확대하는 등 선진공여국으로 나아갈 방침이다. <사진=국제협력단>

        한국은 선진국들로부터 원조받던 국가에서 한 세대 만에 저소득국을 원조하는 선진 공여국으로 지위가 변경된 세계 첫 번째 국가가 됐다. 이러한 우리의 경제발전 경험은 신흥국들에게 좋은 선례이자 대안이 될 수 있다.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면서 경제발전 경험과 위기극복의 노하우를 전수하고, 개도국의 중재자 역할을 성실히 수행한다면 우리의 국제적 위상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급격히 올라갈 것으로 기대된다.

        G20 개최에 따른 기대 효과
        -국가 인지도 및 브랜드 제고를 위한 절호의 기회

        G20 정상회의는 전세계 주요 정상들이 모이는 글로벌 이벤트이고, 세계의 관심이 주목되는 중요한 행사이기 때문에 월드컵 못지않게 한국을 알리는 절대적 계기가 될 것이다.

        한국의 대외적 국가 이미지는 아직은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에 비해 많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1988년의 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을 통해 국제사회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이 많이 향상 되었으나, 아직도 상당수의 외국인들은 한국의 이미지를 한국전쟁과 연관시키는 데 그치거나 북한과 남한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G20 정상회의에는 세계 주요 30여 개국 정상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돼 이들에게 우리의 참모습을 보여줄 매우 중요한 기회이다. 회의기간 내내 CNN?BBC 등 세계 주요방송을 통해 50억 명에 이르는 G20 회원국 국민은 한국과 서울에 관심을 집중할 것이고, 이를 통해 우리의 국가브랜드 이미지 또한 크게 제고될 것이다.

        2010년 11월에 열릴 G20 정상회의는 그동안 국내에서 열렸던 국제 정상회의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G20 정상회의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효과를 계량화하기는 쉽지 않지만, 일단 규모 면에서는 한국이 개최한 역대 국제행사 중에서 최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00년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에는 아시아와 유럽의 주요국 정상 25명을 비롯해 4,600여 명이 참석했다. 200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는 미국·중국·러시아·일본 등 21개국 정상들이 참석했고, 수행인원이 7,100여 명에 달했다. 지난 5월 제주도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는 아세안 10개국 정상이 방한했고, 총 7,000여 명이 회의에 참가했다.  11월 열릴 G20 정상회의에는 20개 회원국 정상뿐 아니라 지역대표와 국제기구 수장 등 30여 명의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한다. 여기에 수행원·경호원·취재진 등을 합칠 경우 1만 8,000명~2만 명이 한국을 방문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접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도 역대 어느 회의보다 클 전망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05년 APEC 정상회의의 경제적 효과를 4,700억~6,700억 원으로 분석한 바 있다. 또 지난 6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린 제주도는 1만 명 이상의 고용유발 효과와 2,600억 원 이상의 홍보효과를 거둔 것으로 추정했다.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G20 국가의 경제적 위상을 생각하면 앞서 국내에서 열린 국제 정상회의보다 훨씬 큰 직접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그동안 북한 핵문제를 비롯한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를 당해왔다. 이번 미국발 경제위기 초에 우리의 외환보유고가 충분하고 경제의 펀더멘털이 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방의 일부 언론들이 한국경제에 대한 부정적 보도를 내놓았던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우리나라 경제규모는 세계 13위를 자랑하지만 국가브랜드 순위는 이에 비해 한참 뒤지는 33위에 머무르고 있다. 우리나라 국가브랜드 가치가 경제력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진=국가브랜드위원회 블로그 제공>
        우리나라 경제규모는 세계 13위를 자랑하지만 국가브랜드 순위는 이에 비해 한참 뒤지는 33위에 머무르고 있다. 우리나라 국가브랜드 가치가 경제력에 비해 저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진=국가브랜드위원회 블로그>

        G20 정상회의 개최는 이런 약점을 ‘코리아 프리미엄(Korea Premium)’으로 전환시켜 우리 경제의 국제적 신인도를 높이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한국의 투자 매력도와 우리 기업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는 등 한국경제의 브랜드 가치도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수출 증가 등 부가적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러한 직접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보다 당장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국제사회의 중심국부로서 우리의 국가적 위상 변화이다. G20 회의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세계경제를 관리하는 새로운 국제협력 프로세스(On-going Process)이다. G20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한국은 향후에도 이러한 국제협력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고, 이를 통해 국제사회 주도그룹의 일원으로서 확고한 지위와 역할을 인정받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의 외교적 활동공간과 영향력의 비약적 확대를 통해 우리 외교사에서 새로운 장이 펼쳐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0년 서울에서 개최될 G20 정상회의는 우리 정부가 그동안 여러 번 천명했던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가교 역할을 담당할 자세와 역량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실질적인 시험대가 될 것이다. G20 정상회의를 선진국 도약의 계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차분하고 냉철한 자세로 ‘G20 외교’ 전략을 짜야 한다.

        우선은 내년 G20 회의를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일회성의 이벤트로 접근해서는 안될 것이다. 물론 정상회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단순한 정상회의 행사 개최를 넘어 G20라는 새로운 국제협력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우리의 국제적 기여와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가가 더욱 중요하다. G20는 G8와 달리 매우 이질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다. 선진국도 있고, 신흥국도 있어 선호하는 정책이나 목표 등이 매우 다르다. 지금까지 글로벌경제 위기라는 다급한 상황 때문에 이견이나 대립보다는 화합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 온 게 사실이다.

        G20 서울회의성공을 위한 과제
        -적극적인 G20 외교 추진과 인프라 확충

        특히 2010년 11월 우리가 G20 회의를 개최할 즈음이면 세계경제가 위기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고, 그동안 수면 아래 잠복해 있던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첨예한 갈등이 전면에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점에서 G20 서울회의의 성공여부는 우리가 참가들 간의 갈등과 이해대립을 조정하고 중재할 수 있는 외교적 리더십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G20 서울회의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금부터 대외적으로 G20 외교를 다양한 분야와 수준에서 활발히 전개해야 한다. 정상회의 행사를 치르는 것에만 집중해서는 부족하다. G20 회의는 우리의 외교 네트워크를 크게 확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내년 G20 회의의 의장국이자 주최국으로서 G20 회원국뿐만 아니라 G20에 들어오지 못한 나라들과 만나 그들의 입장을 듣고 이를 반영해 회의 의제로 만드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G20 안에서는 이슈 분야별로 워킹그룹 같은 협의채널을 구성해 회원국 모두와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는 준비체제를 만들어야 한다. G20 밖에서는 개도국들과 지역별 또는 이슈별로 다양한 형태의 양자 및 다자 포럼이나 대화를 수시로 개최해 지지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 Posted by 치즈볼
        |